주간 베스트 월간 베스트 3개월 베스트 베스트 게시물
꽃배달 한국, 중국 전지역배송

엠보드만들기(1)

맹이 | 2002.06.03 14:00:50 댓글: 10 조회: 2584 추천: 13
분류웹 프로그래밍 https://life.moyiza.kr/itstudy/1758760
그간 안녕하셨슴니까...
이젠 월드컵이 시작을 하였슴니다.....
열분 모두 월드컵보느라 정신이 없죠....ㅎㅎㅎ
그런데 오늘 독일하구 사우디 아라비아......ㅡㅡ;
8:0
그럼 중국하구 브라질은요??
증말 사람을 근심케 하네요...
헷소리는 이만하구 공부를 시작합시다..

오늘부터 저와함께 허접계시판을 만들어봅시다...
우리가 함께 만드는 계시판은요...
그냥 젤 기본적인 계시판이에요...
일단 만들어보면서요 천천히 쓸만하게 만들어보도록 하죠...
일단 기본으로부터 시작해봅시다...
(에익~ 또 그소리야... 담부터 지가 모른다구 해라~)
ㅡㅡ;

계시판을 만드는것두 순서가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순서는
맨첨에 데이터베이스(数据库)를 만들고
2번째 데이터베이스(이후로는 디비로 약칭을 하겠슴니다.)와의 연동소스
3번째 글을 올리기
4번째 리스트(목록보기)소스를 만들기
5번째 내용보기소스 만들기
6번째 글을 삭제하기소스 만들기
7번째 리스트 페이지 나누기
이렇습니다...
(머가 이케 마너~) 안 마너요....
이것이 잴 적고 간단한거에요...
겁먹지 말구요 천천히 따라 해보세요...

그럼 오늘은 함께 디비와 디비와의 연동소스를 만들어봅시다.
asp는 여러가지 디비연동이 가능한데
우리는 그냥 access로 하겠슴니다...
엑세스가 간단하거든요...^^
그럼 엑세스설치가 당연한것이겠죠...
(엑세스란건 또 머냐?)
네... 엑세스는 디비의 한가진데요...
오피스(office)안에 잇어요...
오피스 설치할때 함께 설치하면 되요...
오피스 설치는 간략하겠습니다...

설치가 끝나고 시동을 하세요...
그럼 이런 창이 뜸니다... 따라 해보세요...






여기서 파일을 c:intpubwwwrootmboard 아래에 저장해주세요.




(이건 또 머야~ 사람 얼빤하게 만들지 좀 마라~ )
전혀~~ 그러실꺼 없습니다..
우에 영어로 잔뜩 적은 것들은.. 단지 우리가 게시판에서
받아온 정보들(이름, 제목, 내용 등등..)을
저장할 세부적인 목록을 적은 것뿐입니다.
그럼 하나하나 뜯어 봅시다....

int_id라는 것은 계시가 등록될때 주어지는 번호임니다...
님들다 신분증이 있죠... 그기게 신분증번호가 적혀있죠...
그것은 님의 번호라구두 할수있죠...
그것처럼 int_id라는것두 계시의 번호라구 할수있어요...
(음... id는 알어... 근데 앞에 int는 또 머야..)
오 그거는요 id의 데이터형식(数据类型)을 말하는것인데요...
실은 그냥 id라구 써두 되는데요... 뒤에 프로그램의 편리를
위해서 이름에서 데이터형식을 표시해두는것입니다...
첨에는 좀 불편하것 같지만 습관을 양성하면
후에 마니 편해지는거에요....
조은 습관을 양성합사다~~~~~~~~
(놀구 있네... 그런데 데이터형식이란건 머야~~~)
음... 데이터형식(数据类型)이란것은요 ...
사람을 두구 말하면 남자와 여자가 있죠...
그런것처럼 데이터(数据)도 그 형식이 있는 검니다.
이 데이터는 숫자인가,텍스트(字符)인가...
이런것을 구별하기 위해서 데이터형식을 씁니다.
( 음.... 냄새가 좀 나는데~~~~)
아~ 그러세요... 어쩌다 그런소리를 다하세요....
진짜 기분 짱이당...^^
(ㅡㅡ;)
그럼 int_id 는 데이터형식이 일련번호이구요..
아래 속성을 정하는데서는 새값: 증가 로 해주시면 됩니다.

다음은 strname는 글쓴이 이름을 저장하는곳
데이터형식:텍스트 속성에서 필드크기: 20

stremail는 글쓴이의 멜을 저장하는곳
데이터형식:텍스트  속성에서 필드크기:50

strpass는 글쓴이의 비번을 저장하는곳
데이터형식:텍스트  속성에서 필드크기:20

strsubject는 글의 제목을 저장
데이터형식: 텍스트  속성에서 필드크기:50

strcontent는 글의 내용을 저장
데이터형식:텍스트  속성에서 필드크기:255

blntag는 html을 사용여부를 확인할때 쓰입니다.
데이터형식:텍스트 속성에서 필드크기:1

int_hit는 조회수를 저정하는곳
데이터형식:숫자  속성에서 필드크기:정수(long)

int_ip는 조회하는 사람의 ip를 저장하는곳
데이터형식:텍스트 속성에서 필드크기:15

sdt_date는 글을 쓸 시간을 저장하는곳
데이터형식:날짜/시간 속성에서 설정할것이 없음

일단 이렇게 적어넣은 다음 창닫기를 클릭하면
이런 순서로 창이 뜨는데 따라하세요...











(그런데 아까 우리가 이름을 하나 만들었자나... 여기서 왜 또 하나
만들어야대냐?)
네... 잘 물었슴니다...
첨에 우리가 만든 이름은 디비이름이구 이제 금방 우리가 만든 이름은
테이블(表)이름 임니다...
둘이 다름니다... 하나의 디비에 여러개의 테이블이 들어갈수 있거든요.
그러므로 테이블에 이름을 만들어서 구분을 함니다...

자~~ 열분 수고 마니 했슴니다...
이로서 디비만들기는 끝을 봤슴니다...
휴~~~ 그럼 차한잔하고 다시 돌아오죠....^^

~~~~~~~~~~~~~~~~~~~~~~~~~~~~~~~~~~~~~~~~~~~~~~~~
음~~~ 차맛 조타~~~
~~~~~~~~~~~~~~~~~~~~~~~~~~~~~~~~~~~~~~~~~~~~~~~~

휴식 잘하셨죠... 그럼 계속 나아가봅시다...
위에서 디비를 다 만들었는데...
이제는 디비와의 연결소스를 만든느 순서임니다...
여기는 몽땅 소스임니다...


01
02
03
04
05
06
07
08


<%
Dim db,data_url
data_url = Request("PATH_TRANSLATED")
data_url = left(data_url, InStrRev(data_url, "")) & "board.mdb"

Set db = Server.CreateObject("ADODB.Connection")
db.Open = "Driver={Microsoft Access Driver (*.mdb)};DBQ="&data_url
%>



그럼 한줄한줄 봅시다..

01 Dim db,data_url
프로그램을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는데요...
프로그램을 할땐 꼭 변수를 정의해줘야 함니다...
그럼 변수라는것은 머냐면요... 프로그램을 할때 일부 수치나 문자열들을
정장해야할때가 많은데 변수가 바로 이늠들을 저장해두는 곳임니다...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용기(容器)같은 작용을 하죠...
asp에서는 변수를 정의할때는
dim 한칸 띄우고 변수이름 이케 함니다...
두개 혹은 두개 이상을 할때는 ,으로 변수들을 갈라놓슴니다...
이러면 첫줄을 알아볼만하죠...

02 data_url = Request("PATH_TRANSLATED")
Request는 asp의 내장객채의 하나로서 서버에서 정보를
크라이언트로 보내주는 작용을 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하나~ =
여기서 =는  = 오른쪽에서 얻은 값을 = 왼쪽의 변수에 부여해줍니다.
그러니깐 =오른쪽에서 얻은 디비의 경로를 data_url이 변수에 저장해둔다
이말이 되겠습니다...
그럼 아래로 내려갑시다...

03 data_url = left(data_url, InStrRev(data_url, "")) & "board.mdb"
이 구절은 우에서 얻은 디비의 경로에 대해서 약간 수정을 하는 구절임니다..
여기서 vb script의 함수 두개가 사용되는데...
하나는 left 하나는 instrrev임니다...

left는 한 문자열에서 지정한 수만큼 문자를 반환하는 함수임니다.
사용법은 left(문자열,길이)  임니다.
쉽게 말하면 문자열에서 길이의 값만큼의 문자만 반환해줍니다...
예를 들면...

dim string.leftstring                      'sting은 문자열이라는 뜻
string="hello~~^^"
leftstring=left(string,5)

이렇게 되면 leftstring의 값은 무엇일까요?
당연히 hello 이겠죠... 왼쪽으로부터 5번째까지 문자를 반환하니깐요...^^

그럼 instrrev는 어떤작용을 할까요?
이 함수는 한문자열이 다른 문자열에서의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
(모르겠어~)
일단 사용법부터...
instrrev(문자열1,문자열2)
여기서 문자열2가 문자열1에서 차지하고있는 위치를 반환한다는 뜻
예를 들면....

dim string1,string2,string3
string1="hello~~!"
string2="o"
string3=instrrev(string1,o)  

이렇게 되면 string3의 값은 무엇일까요?
값은 5 임니다... o가 hello~~! 에서 5번째있어요...
그리구 여기서 주의할점은 instrrev 함수는 꼭 숫자를 반환하다는걸 잊지 마세요..

그리고 또 하나 말할것이 있네여....& 임니다.
이 부호는 두 문자열을 연결해주는 연결표입니다...
또 예를 들죠...

dim string1,string2,string3
string1="hello~~,"
string2="world!"
string3=string1&string2

이러면 string3의 값은 hello~~,world! 가 됩니다...
이만 하면 알만하죠?
(웃기구 있네... 지금 골이 막 빠개지는것 같은데 멀~) ㅡㅡ;
첨엔 좀 그럴것임니다....
허지만 소스가 조금만 눈에 익으면 만이 나어질껏입니다...
견지합시다....잰츠지우쓰써엉리~~~~~~~~~~~~~
(그러구요... asp를 하다보면 vb script 를 마니 쓰는데요...
제가 조은 방조도구를 드리죠... 받아서 열어보면 알꺼에요...
vb script 공부에 마니 방조가 될껏임니다...^^)

그럼 이번에는 3번째구절을 봅시다...
이 구절은 2번째줄에서 얻은 디비의 경로에서 ""까지
잘라내고 뒤에 board.mdb 를 붙힙니다...
그리고 이 문자열을 다시 변수 data_url에 저장함니다..
그러면 완정한 디비의 경로가 됩니다...

휴~~~~~ 쉽지가 않네요...
그런데 아래에 골치가 아픈 넘이 나와요...

Set db = Server.CreateObject("ADODB.Connection")
보기만해두 막 어렴증이 나는 한구절이입니다...
또한 심오한 내용이 담겨져있거든요....
허지만 겁은 잡수지 마세요...제가 있자너요...ㅎㅎㅎ

ASP에서는 우리가 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내장된
도구를 제공해 주는데, 이 DB 관련 도구를 ADO(ActiveX Data Objects) 라고 부릅니다.
그 ADO 안에는 여러가지 개체가 존재하는데요.
그 중에서도 DB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개체가 방금 사용한 Connection 개체 가 되겠습니다.
사용 방법은 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Server.CreateObject 라는
명령어를 이용해서 db이라는 변수에 Connection 개체의
인스턴스를 생성 합니다. 그리고 db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죠.
(머야~~~ 한나뚜 모르겠따.......)
네... 여기가 좀 이해하기 여려운부분임니다...
허지만 일단은 그냥 이런것이 있구나 하구 지나가주시길....
asp와 접촉이 마나지면 차츰차츰 알려질것임니다.그리고
뒤에서두 아주 마니 나올것이니깐요....

그럼 아래로~
db.Open = "Driver={Microsoft Access Driver (*.mdb)};DBQ="&data_url
이제 우에서 준비해논것들을 사용하는 곳입니다...
ADO객채로 db를 만들어놨구... 디비경로두 준비해놨으니...
이젠 디비를 열어야지요...
이구절이 바로 디비를 여는 격식입니다...
이건 그냥 격식이다 보니 머 설명하기가 좀 그렇네요...ㅡㅡ;
그냥 어문 문법처럼 기억해두세요...ㅡㅡ;
(야야... 니가 모른다구해라... 차라리~~~~~~~)
네. 알겠습니다...ㅠ.ㅠ

휴~~~~~ 이로서 다섯둘에 소스분석이 끝났슴니다...
따~~악 다섯줄밖에 안되는데 무지 바쁘게 설명을 했네영....
제가 언어표달이 약해서...ㅡㅡ;

소스를 다 만든담에는 정장을 해야겠죠...
파일이름을 dbcon.asp 로 하고
이 소스를 우에서 디비를 저장했던 c:intpubwwwrootmboard 아래에
저장해주세요.
그러면 오늘 임무는 끝을 봤음니다...

이상 오늘강좌는 끝났습니다....
이것저것 사소한것두 함께 설명을 하다보니깐
강좌가 길어졌네요...ㅡㅡ;
여기까지 지켜봐주셔서 감사하구요...
전이만.... 담강좌에 만나요...^^

ps: 이러구 보니깐 이젠 기말시험두 담방이네요...
      담 강좌를 쓰려면 시험이 끝난뒤에 써야겠네요...
      시간이 좀 걸릴껏 같슴니다...
      마니 지송하지만 어쩔수없어요....
      한학기공부를 이제 남은 반달동안에 다해야거든요...ㅡㅡ;
      그럼 이만 안녕히~~







* 전설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4-05-30 17:07)
* 이동한 이유 :
* 원래의 위치 : 웹 공부 >> 웹 프로그래밍
* 이동후 위치 : 웹 공부 >>

* 전설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4-05-30 17:12)
* 이동한 이유 :
* 원래의 위치 : 웹 공부 >>
* 이동후 위치 : 웹 공부 >> 웹 프로그래밍
추천 (13) 선물 (0명)
첨부파일 다운로드 ( 9 )
vbsdoc.exe | 650.6KB / 29 Download
1-1.GIF | 10.1KB / 2 Download
1-2.GIF | 25.1KB / 0 Download
1-3.GIF | 10.6KB / 0 Download
1-4.GIF | 8.9KB / 0 Download
1-5.GIF | 2.2KB / 0 Download
1-6.GIF | 4.6KB / 0 Download
1-7.GIF | 3.1KB / 0 Download
1-8.GIF | 11.2KB / 2 Download
IP: ♡.27.♡.102
민이 (♡.62.♡.3) - 2002/06/04 09:29:01

진짜 골이 뻥하당 ~~몰겟네 어쩌지 ~~~~

맹이 (♡.27.♡.102) - 2002/06/04 12:15:33

좀 그럴꺼야... 하지만 근심하지마....

맹이 (♡.27.♡.102) - 2002/06/04 12:17:01

일단은 인상만 남겨라~~ 좀만 지나면 알만할테니까~~~

투데이 (♡.62.♡.171) - 2002/09/22 08:57:19

저는 절반쯤 와서 포기 했습니다.ㅡㅡ;;

좋은 인연 (♡.17.♡.216) - 2002/10/21 17:48:23

다비를 다한후 소스를 어디다 입력하여야 하는 가를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캐프콤 (♡.62.♡.7) - 2002/12/02 12:50:52

아주 설명을 잘했네요.그러나 다른 홈서버에 이미만든asp파일을 올려 작동시키려면 어떻게 하는지요?

맹이 (♡.27.♡.96) - 2003/02/16 20:18:42

다른 홈서버에 이미 작성된 소스를 올려서 작동시키려면 중요한것은
데타베이스임니다. 디비가 잇냐 없냐 보구. 없으면 만들어주고...
있으면 경로를 잘 잡아주면 됩니다... ^^

정하린 (♡.62.♡.125) - 2003/07/11 17:58:24

으앙~ @.,@ .

두꺼비 (♡.48.♡.223) - 2003/09/03 16:04:10

허 미~하나씩따라하눈데 머가먼지 또위에서 부터 천천히 ~~킁

김복희 (♡.236.♡.32) - 2004/05/25 19:41:56

막 벙벙해지는데 그래두 좋아요,,,
한어글로된 책들을 보다가 이렇게 조선말로된 강좌를 읽으면 리해하기가 두배는 더 쉽거든요,,, 참 감사합니다...맹이님...

3,006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관리자
2003-09-20
11908
관리자
2003-09-20
11457
관리자
2003-09-20
20591
지구인
2010-08-27
19384
지구인
2009-09-07
13705
SOLIDH
2010-01-29
15662
엔죠라이프
2004-10-07
16752
네로
2002-06-21
392
네로
2002-06-21
504
네로
2002-06-21
369
네로
2002-06-21
767
네로
2002-06-20
1818
네로
2002-06-13
469
네로
2002-06-10
371
네로
2002-06-10
521
네로
2002-06-10
462
네로
2002-06-10
412
네로
2002-06-10
422
네로
2002-06-06
628
네로
2002-06-06
442
맹이
2002-06-03
2584
네로
2002-06-01
367
네로
2002-06-01
2512
네로
2002-06-01
1443
네로
2002-05-30
2659
네로
2002-05-29
3044
네로
2002-05-29
2248
네로
2002-05-29
2822
모이자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