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골증 예방법★

한마음 | 2006.09.30 10:35:48 댓글: 1 조회: 542 추천: 2
분류건강·상식 https://life.moyiza.kr/lifetips/1476832
  



젊을때부터 잘먹고 운동 열심히


골다공증은 노인들에게 가장 많은 만성 질환 중 하나다.
나이가 들면서 점점 늘어나는데, 최근 조사를 보면 50대 18%, 60대 40%,
70대 이후는 74%로 나타날 정도다. 골다공증은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에서 서양보다 더 많은 편이다.

점차 인구의 고령화가 심해지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앞으로 골다공증에 들어가는 의료비는 점점 커질 전망이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국은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골다공증은 말 그대로 뼈에 구멍이 많은 질병이다.
뼈가 적절한 강도를 가지려면 충분한 칼슘 및 단백질 조직이 있어야 하는데,
이 중 칼슘이 빠져나가면 자연히 뼈의 강도는 떨어진다.
그 결과 작은 충격에도 뼈가 부러지기도 한다.
특히 허리와 넓적다리뼈가 이상이 잘 오며 잘 부러진다.
허리뼈에 골다공증이 오면 허리가 휘거나 통증이 심해지며,
넓적다리뼈가 부러지면 걷기도 힘들어져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진다.
골다공증으로 뼈에 이상이 생긴 것은 보통 방사선
사진으로도 쉽게 진단이 가능하다. 왼쪽 사진은 보통의 넓적다리뼈로
칼슘이 충분히 있어 밝게 보이고 제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오른쪽 사진은 골다공증이 있으면서 골절이 있는 것으로,
칼슘이 충분하지 않아 어둡게 보이고 화살표 부분이 부러진 것을 알 수 있다.

골다공증의 주된 이유는 호르몬 변화, 운동 부족, 영양 결핍 등이다.
특히 운동이 부족하면 골다공증은 심해진다.
운동을 하면 우리 몸이 스스로 뼈를 단단하게 하기 위해
칼슘 등을 뼈에 많이 보내기 때문이다.
병원에 입원해 있거나, 팔다리 등을 다쳐 일정 기간 움직이지 않으면
젊은 사람이라도 2~3주 만에 골다공증 소견을 보일 정도다.

골다공증이 노인들에게 많이 생기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지만,
뼈의 강도를 올리는 작업은 반드시 젊은 나이에 해야 한다.
뼈의 강도가 최고에 달하는 나이는 30대로,
이 나이대가 지나면 서서히 뼈 성분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렸을 때부터 충분한 운동, 영양 섭취로 30대까지 뼈 밀도를
최대로 만들어 놓는다면 그만큼 골다공증이 올 가능성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더운 여름이지만 에어컨 바람에만 안주하지 말고 지금이라도 자리를
박차고 나가 운동하는 것을 권한다.
추천 (2) 선물 (0명)
IP: ♡.162.♡.203
jade (♡.25.♡.35) - 2006/10/12 13:12:34

여자라면 더욱더 명심해야할것은
애를 더 가지게 되지 않는다해서 절대 정육수술을 하지 마세요..
나중에 늙으면 골다공증 걸리기 쉽거든요..

11,896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옥란화
2009-04-30
0
32395
보라
2006-06-20
1
40072
lynn
2006-10-25
2
1690
하나코
2006-10-25
4
1692
너의향기^
2006-10-24
2
1071
나나
2006-10-24
1
1004
너의향기^
2006-10-21
1
1566
lynn
2006-10-21
1
802
너의향기^
2006-10-19
5
2051
너의향기^
2006-10-13
4
1533
가을향기
2006-10-12
1
1795
가을향기
2006-10-12
5
1248
근데?
2006-10-11
1
2497
힘있게
2006-10-11
0
650
너의향기^
2006-10-11
1
2133
히스토리
2006-10-10
0
725
꽃보라
2006-10-10
3
1250
Luna
2006-10-10
0
1648
김결
2006-10-10
0
949
너의향기^
2006-10-10
0
715
너의향기^
2006-10-08
2
1198
한마음
2006-10-04
2
1478
한마음
2006-10-04
2
1313
한마음
2006-10-04
2
1065
한마음
2006-09-30
0
2224
한마음
2006-09-30
2
542
한마음
2006-09-30
4
703
보라
2006-09-29
5
969
모이자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