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베스트 월간 베스트 3개월 베스트 베스트 게시물
연길시 신화서점 조선말 도서

글로벌문법

Aaron217 | 2008.03.08 02:57:54 댓글: 1 조회: 414 추천: 1
분류영어 https://life.moyiza.kr/langstudy/1751201
Q. 원급 - 비교급 - 최상급이 대체 뭔가요?
---------------------------------------------------------------------------------------
A. 명사, 대명사, 동사 같은 다른 품사들과는 달리 형용사와 부사는 원급 - 비교급 - 최상급이라는 세 가지 변화를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말 형용사 ‘아름다운’과 부사 ‘빨리’가 원급(본래의 꼴)이라면, 그 앞에 ‘더’를 붙인 ‘더 아름다운’, ‘더 빨리’는 비교급, ‘가장’을 붙인 ‘가장 아름다운’, ‘가장 빨리’는 최상급입니다. 이렇듯 우리말 경우 형용사나 부사의 비교급을 만들 때 원급 앞에 ‘더’란 말을 붙이듯 영어의 경우 형용사나 부사 원급 뒤에 -er을 붙이며, 우리말 경우 최상급을 만들 때 원급 앞에 ‘가장’이란 말을 붙이듯 영어 경우 원급 뒤에 -est를 붙입니다. 그리고 3음절 이상의 긴 형용사와 부사의 경우 -er, -est를 붙이지 않고 그 앞에 more, most를 붙이는 게 일반적인 규칙이나, 늘 그렇듯 그 규칙에서 벗어나 제멋대로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형용사나 부사들도 있습니다.


---------------------------------------------------------------------------------------
Q. 비교급 - 최상급은 대개 어떻게 만드나요?
---------------------------------------------------------------------------------------
A. 형용사와 부사의 비교급·최상급을 만들 때는 원급에 -er, -est 또는 그와 유사한 어미를 붙이거나, 원급 앞에 more, most를 붙이는 것이 보통입니다. 여기선 먼저 이런 일반적인 비교급- 최상급 만드는 법을 살펴보고, 규칙에서 벗어난 비교급 - 최상급 변화에 대해서는 바로 뒤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oint] 형용사나 부사의 원급에 -er, -est
형용사나 부사의 비교급·최상급을 만들 때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입니다.
예) bright - brighter - brightest
    long   - longer  - longest
    tall    - taller   - tallest
    young - younger - youngest

 

[Point] e로 끝난 단어는 e를 생략하고 -r, -st
예를 들어 형용사 nice(멋진)나 부사 late(늦게)는 끝이 -e로 끝나는데, 이런 형용사나 부사의 비교급·최상급을 만들 때는 -er, -est에서 e를 생략한 채 -r과 -st만 붙입니다. 
예) idle - idler - idlest
    large - larger - largest
    simple - simpler - simplest
    wise - wiser - wisest

 

[Point] <단모음+단자음>으로 끝난 단어는 자음을 하나 더 붙인 뒤 -er, -est
예를 들어 big이란 형용사는 마지막 자음 g와 그 바로 앞 모음 i이 짧게 발음되는 이른바 단모음과 단자음인데, 이처럼 <단모음 + 단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의 비교급·최상급은 bigger, biggest 식으로 마지막 자음(g)을 하나 덧붙인 뒤 -er, -est를 붙입니다. 
예) fat - fatter - fattest 
    hot - hotter - hottest
    sad - sadder - saddest
    thin - thinner - thinnest  
    wet - wetter - wettest
  
[Point] <자음+y>로 끝난 단어는 y를 i로 고치고 -er, -est
동사 study 같이 <자음(d) + y>로 끝난 동사의 3인칭 단수 현재형 및 과거(과거분사형)은 y를 i로 고친 뒤 -es와 -ed를 붙여 studies, studied라고 하는 것처럼, 예를 들어 busy처럼 <자음(s) + y>로 끝난 형용사나 부사의 비교급·최상급 경우 역시 busier, busiest 식으로 y를 i로 고친 뒤 -er, -est를 붙입니다.  
예) dirty  - dirtier  - dirtiest
    easy  - easier  - easiest
    happy - happier - happiest
    pretty - prettier - prettiest
    tiny  - tinier - tiniest 


    ☞ 그러나 gay(명랑한, 즐거운)처럼 <모음(a, e, i, o, u 등) + y>로 끝난 형용사나 부사의

        비교 급·최상급의 경우에는 y를 i로 고치지 않고 gayer, gayest 식으로 그냥 y 뒤에

        -er, -est를 붙입니다.
     
[Point] 2음절이 넘는 긴 단어는 -er, -est를 붙이지 않고 그 앞에 more, most
2음절이 넘는 즉 3음절 이상의 비교적 긴 형용사나 부사의 경우, 비교급·최상급을 만들 때 뒤에 -er, -est를 붙이지 않고 원형 앞에 more 또는 most를 붙입니다. 예를 들어 diligent의 비교급·최상급은 diligenter, diligentest가 아니라 more diligent, most diligent입니다.
예) beautiful - more beautiful - most beautiful
    difficult - more difficult - most difficult
    famous - more famous - most famous
    interesting - more interesting - most interesting

 

   ☞ 음절이란 ‘아’, ‘가’, ‘악’처럼 모음과 자음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소리의 한 덩어리를 일컫는

       말로, 영어 사전 표제어로 오른 단어들에서  중간점(·)으로 나뉘어 있는 한 단위 한 단위가

       바로 음절입니다. 예를 들어 영어 사전에서 beauty를 찾으면 beau·ty라고 표기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 단어는 중간 점에 의해 두 단위로 나뉘어 있으므로 2음절어입니다. 같은

       이유로 beau·ti·ful은 3음절어, in·ter·est·ing은 4음절어가 됩니다. 앞서 나온 simple, happy,

       pretty 같은 단어들의 경우, 영어 사전을 찾아보면 sim·ple, hap·py, pret·ty로 나와 있어 전부

       2음절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교급·최상급을 만들 때 앞에 more, most를 붙이지

       않는 것입니다. 

 

[Point] 서술용법으로만 쓰이는 형용사는 -er, -est를 붙이지 않고 그 앞에 more, most
afraid, asleep, alike, awake, aware, alone, ... 등 -a로 시작하는 형용사들은 한정 용법으로는 쓰이지 않고 서술 용법으로만 쓰이는데, 이런 형용사들의 비교급·최상급을 만들 때는 뒤에 -er, -est를 붙이지 않고 그 앞에 more, most를 붙입니다.
예) afraid - more afraid - most afraid
    asleep - more asleep - most asleep

 

----------------------------------------------------------------------------------------
Q. 그렇다면 규칙에서 벗어난 비교급 - 최상급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A. 예를 들어 good 같은 형용사의 경우, 비교급·최상급을 gooder, goodest라 하지 않고, better, best라 합니다. 영어의 형용사나 부사 가운데는 이처럼 뒤에 -er, -est를 붙이거나 앞에 more, most를 붙이는 규칙에서 벗어나 불규칙적으로 비교급·최상급 변화를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수차 강조하는 얘기지만, 규칙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변화를 한다는 건 그만큼 영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말이라는 뜻도 되므로, 특히 잘 기억해 두셔야 합니다.  

예) good      - better - best
      well       


      bad      - worse - worst
      ill
 
      many     - more - most
      much

      little - less - least

 

     ☞  old와 far, late 등은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른 뜻을 가진 두 가지 비교급·최상급 변화를 합니다.

     예) old(나이를 먹은) - older(더 나이를 먹은) - oldest(가장 나이를 먹은)   [나이]
          old             - elder(손위의) - eldest(가장 손위의)                            [형제간의 서열]

 

          far(먼, 멀리) - farther(더 먼, 더 멀리) - farthest(가장 먼, 가장 멀리)  [거리]
          far          - further(게다가, 더 나아가) - furthest(가장)                     [정도]

 

          late(늦은) - later(더 늦은) - latest(가장 늦은, 최신의)               [시간]
          late - latter(뒤쪽의, 후자의) - last(맨 마지막의)                       [순서]

 

----------------------------------------------------------------------------------------
Q. 시험에 잘 나오는 비교급 - 최상급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A. 영미인들이 쓰는 표현들 가운데는 형용사나 부사의 비교급·최상급을 이용한 관용 표현들이 많습니다. 이런 표현들은 각종 시험에도 자주 나오므로, 단어나 숙어 외우듯 통째로 외워 두시기 바랍니다.


Q. 비교급 문장은 대개 어떤 형태를 취하나요?
---------------------------------------------------------------
A. 비교급 문장의 가장 흔한 형태는 비교급을 이용해 비교급 문장을 만드는 것으로, 대개 <비교급 than> 등의 형태를 취합니다.
 
[Point] <비교급 than ~>(~보다 더 …하다)         [우등 비교]
예를 들어 “그녀는 나보다 키가 더 크다.”라고 할 때 대개 <비교급 than ~> 용법을 써서 "She is taller than I (am)."라고 하는데, 이때 than 뒤에서 앞부분과 중복되는 말(여기선 be 동사 am)은 생략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리고 than 앞에는 방금 든 예에서처럼 형용사 비교급(taller)이 올 수도 있지만, more quickly(더 빨리), harder(더 열심히) 같은 부사의 비교급이 올 수도 있습니다.
예) Nancy loves you better than Susan (loves).
     (수잔보다 낸시가 너를 더 사랑한다.)
     She is fatter than (she was) before.
     (그녀는 전보다 더 뚱뚱하다.)
     I can run more quickly than you (can).
     (나는 너보다 더 빨리 뛸 수 있다.)

 

[Point] <less 원급 than ~>(~보다 덜 …하다)      [열등 비교]
바로 위의 [Point]와 반대로 ‘~보다 덜 …하다’라고 할 때는 ‘보다 적게, 덜’이란 뜻의 부사 less를 이용해 <less 원급  than ....> 형태의 표현을 쓰는데, 이때 less 뒤에는 대개 형용사나 명사 또는 동사가 옵니다. 
예) She is less beautiful than her mother (is).       [less 뒤에 형용사 beautiful]
     = She was not as[so] beautiful as her mother (is).
     (그녀는 자기 엄마만큼 아름답지는 않다.)
     He was less a fool than I had expected.         [less 뒤에 명사 a fool]
     = He was not such a fool as I had expected.
     (그는 내가 예상했던 것만큼 어리석진 않았다.)
     He was less satisfied than you (were).          [less 뒤에 동사 satisfied]
     = He was not as[so] satisfied as you (were).
    (그는 너보다 덜 만족해했다.)

 

[Point] <more ~ than ....>(A라기보다는 오히려 B)
“나는 놀랐다기보다 무서웠다.”는 말은 영어로 "I was more scared than surprised." 식으로 표현하는데, 이때 more 뒤와 than 뒤의 말은 둘 다 형용사든가, 부사든가 문법적으로 동일한 요소여야 합니다. more 대신 less를 써서 "I was less scared than surprised."라고 하면 “나는 무서웠다기보다 놀랐다.”라는 반대 의미의 말이 된다는데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예) She was more sexy than beautiful.     [more와 than 뒤에 둘 다 형용사(sexy, beautiful)]
     (그녀는 아름답다기보다 섹시했다.)
     He ran more steadily than quickly.     [more와 than 뒤에 둘 다 부사(steadily, quickly]]
     (그는 빨리 뛰었다기보다는 꾸준히 뛰었다.)

 

[Point] <비교급 and 비교급>(점점 더 ~, 더욱 더 ~)
예를 들어 “날이 점점 따뜻해진다.”고 할 때 ‘비교급 and 비교급’ 즉, warmer and warmer 형태의 표현을 써서 "It's getting warmer and warmer."라고 합니다. 참고로 이때의 주어 It은 날씨, 명암, 거리 등을 나타낼 때 쓰는 이른바 비인칭 주어 it이란 것으로, 이때의 It은 달리 해석하지 않습니다. 
예) Our world is getting smaller and smaller.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점점 더 작아지고 있다.)
     More and more people became to recognize her.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그녀를 알아보게 되었다.)

 

[Point]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하면 할수록, 더 …하다)
“The more, the better.”란 말이 있고, “The sooner, the better."란 말도 있습니다. 각기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할 때 쓰는 말입니다. 이처럼 영어에서 비교급 앞에 정관사 the를 붙여 "The more ~, the more ..." 식으로 말하면 “~하면 할수록, 더 …하다”란 뜻이 됩니다.

예) The higher the mountain is, the more people like to climb.
     (산이 높으면 높을수록, 사람들은 더 오르고 싶어한다.)
     The harder you work, the more you can earn.
     (열심히 일하면 일할수록,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


Q. 비교급을 쓰지 않고 원급으로 비교급 문장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고요?
---------------------------------------------------------------------
A. 예, 그렇습니다. 영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형용사나 부사를 비교급으로 만들지 않고 원형 그대로 써서 비교를 하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Point] <as ~ as ....>(…만큼 ~한) 형태의 표현                 [동등 비교]
이때 as와 as 사이에는 “She is as tall as her mother (is).”(그는 자기 엄마만큼이나 키가 컸다.), “He worked as hard as you (did)."(그는 너만큼이나 열심히 일했다.) 식으로 형용사(tall) 또는 부사(hard)가 오거나, "She is as pretty a girl as her sister." 식으로 ‘형용사 + 부정관사 + 명사(pretty a girl)‘ 형태가 옵니다.
예) My grandfather was as busy as a bee (was).
     (나의 할아버지는 벌만큼이나 분주하셨다.) 
     He is as good a football player as his father (is). 
     (그는 자기 아버지만큼이나 훌륭한 축구 선수이다.)

 

[Point] <not as[so] ~ as ....>(…만큼 ~하지 않은) 형태의 표현   [열등 비교] 
바로 앞에서 살펴본 as ~ as ....의 부정형으로, 이 경우 앞의 as는 so로 대신해 not so ~ as 형태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She is not as[so] tall as her mother (is).    
     (그녀는 자기 엄마만큼 크지는 않다.)
     I don't have as[so] many friends as you (have).
     (난 너만큼 많은 친구를 갖고 있지 않다.)
     It is not as[so] easy as you think.
     (그건 당신이 생각하는 것만큼 쉽지 않다.)

 

[Point] <No one is as ~ as ....>(그 누구도 …만큼 ~하지 않다) 형태의 표현
No one, Nobody, None, Nothing 등의 부정어가 주어로 오고 그 뒤에 as ~ as .... 또는 so ~ as ....형태의 말이 오면, ‘그 누구[또는 동물, 사물]도 …만큼 ~하지 않다’는 말이 되어, 결국 의미상 ‘…가 가장 ~하다’는 최상급 표현이 됩니다.
예) No one in our class was as[so] pretty as Jisu.
     (우리 반의 그 누구도 지수만큼 예쁘진 않았다.→ 지수가 가장 예뻤다)
     Nothing is as[so] important as health.
     (건강만큼 중요한 건 아무것도 없다. → 건강이 가장 중요하다)

 

[Point] <as ~ as .... can>(가능한 한 ~ = as ~ as possible) 형태의 표현
외국인과 영문 편지 같은 걸 주고받다 보면 가끔 ASAP라는 말을 보게 됩니다. as soon as possible의 줄임말로 '가능한한 빨리'란 뜻입니다. 가능한한 빨리 회신 달라거나 할 때 쓰는 말이지요. 이렇듯 as와 as 사이에 부사를 쓰고 뒤에 possible이나 you can 등의 말을 붙이면 ‘가능한한 ~’란 뜻이 됩니다.
예) You should quit smoking as early as you can.
     = You should quit smoking as early as possible.
     (가능한 일찍 담배를 끊는 게 좋습니다.) 
     Please come home as quickly as you can.
     = Please come home as quickly as possible.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집으로 오세요.)

 

[Point] <as early as ~ >(~만큼이나 일찍이, ~에 이미[벌써])
문자 그대로 ‘~만큼이나 일찍’이란 뜻을 가진 as early as란 말 다음에 시간을 나타내는 at nine, on Sunday, in March, in 1756 등의 말이 오면, ‘9시에[일요일에, 3월에, 1756년에] 이미’라는 뜻이 됩니다.
예) As early as in 1993, he predicted the result.
     (그는 1993년에 이미 그 결과를 예측했었다.)
     I finished it as early as in October.
     (나는 그걸 10월에 이미 끝냈다.)

 

[Point] <배수 as ~ as ....>(…보다 몇 배나 ~한)
예를 들어 영어로 ‘…보다 두 배 긴’은 two times as long as ...., ‘…보다 세 배 두꺼운’은 three times as thick as .... 식으로 말하며, 이때 two times, three times 등은 twice, thrice 등의 말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또한 ‘…의 3분의 2 길이의’ 식으로 말할 때는 as long as 앞에 two times, three times 같은 배수 대신 half(1/2), one third(1/3), two thirds(2/3), three fifths(3/5) 같은 분수를 쓰면 됩니다.    
예) This book is about four times[quadruple] as thick as that one.  [배수의 경우]
     (이 책은 저 책보다 4배쯤 두껍다.)
     The job took only half as long as we had expected.                  [분수의 경우]
     (그 일은 우리가 예상했던 시간의 절반 밖에 안 걸렸다.)
     The population of that country is about one third as large as that of Japan.
     (그 나라의 인구는 일본 인구의 약 3분의 1 정도이다.)

 

Q. 그밖에 꼭 기억해 두어야 할 관용적인 비교 표현들은?
---------------------------------------------------------------
A. 재삼 재사 계속해서 하는 말이지만, 영어에서 '관용적'이라는 말이 들어가는 표현들은 각종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들입니다. 아래 표현들은 형태가 비슷비슷해 혼동하기 쉬우므로, 가능하면 예문까지 통째로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Point] <no more than>(겨우, 고작 = only)/ <not more than>(기껏해야 = at most)
no more than과 not more than은 우리말로 각기 ‘겨우, 고작’, ‘기껏해야’ 정도의 뜻으로, 그게 그거 같은 게 어찌 보면 같은 말 같아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두 말은 분명 다른 말로, 예를 들어 no more than 100 dollars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겨우 100 달러란 뜻이라면, not more than 100 dollars는 기껏해야 100달러이고 실은 그보다 적을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예) I have no more than five dollars.              [no more than = only(겨우, 고작)]
     = I have only five dollars.
     (난 겨우 5달러밖에 없다. →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정확히 5달러가 있다)
     They worked not more than two hours.     [not more than = at most(기껏해야)]
     = They worked at most two hours.
     (그들은 기껏해야 두 시간 일했다. → 실제로는 그보다 적게 일했을 수도 있다)
 
[Point] <no less than>(무려 = as many[much] as)/ <not less than>(적어도 = at

least)
바로 앞서 배운 no more than의 반대되는 말이라 할 수 있는데, 이 말 뒤에 셀 수 있는 명사가 올 때는 as many as로, 셀 수 없는 명사가 올 때는 as much as란 말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no less than 100 dollars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무려 100달러란 뜻이라면, not less than은 적어도 100달러로

실제로는 더 많을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예) I have no less than one thousand dollars.   [no less than = as many[much] as(무려)]
     = I have as much as one thousand dollars.
     (난 무려 1,000달러나 있다. →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정확히 1,000달러가 있다)
     They worked not less than eight hours.       [not less than = at least(적어도)]
     = They worked at least eight hours.
     (그들은 적어도 8시간 일을 했다. → 실제로는 그 이상 일했을 수도 있다)

 

[Point] <no longer ~>/ <no more ~>(더 이상 ~가 아닌)
no longer ~와 no more ~는 둘 다 ‘더 이상 ~가 아닌’으로 해석되어 다소 혼동의 여지가 있습니다. 두 표현은 실제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굳이 구분을 하자면 이렇습니다. 먼저 부사 long은 원래 시간적으로 ‘오랫동안’의 뜻이므로, no longer는 시간적으로 더 이상 오래 ~ 아니다라고 할 때 씁니다. 그리고 no more는 음식을 더 이상 많이 못 먹겠다거나 화를 더 이상 참을 수 없다거나 할 때 씁니다.       
예) He said he was no longer a child.   [no longer : 시간적으로 더 이상 ~가 아닌]
     = He said he was not a child any longer.
     (그는 자신은 더 이상 어린애가 아니라고 말했다.)
     I can eat no more.                          [no more : 시간 외적인 면으로 더 이상 ~가 아닌]
     = I can't eat any more. 
     (더 이상 못 먹겠어.)

 

[Point] <A is no more B than C is.>(C가 B가 아니듯, A도 B가 아니다)
"A whale is no more a fish than a horse is."라는 아주 유명한 문장이 있습니다. 말이 물고기가 아니듯, 고래 역시 물고기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a horse is 뒤에 not a fish가 생략됐다고 보면 좀더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직역하자면 말이 물고기가 아닌 것보다 더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라는 뜻이죠. 이 문장은 "A whale is not a fish any more than a horse is." 식으로 바꿔 쓸 수도 있습니다.
예) I am no more mad than you are.                   [you are 뒤에 not mad가 생략]
     = I am not mad any more than you are.
     (당신이 미치지 않았듯, 나도 미치지 않았다.)
     He'd no more marry for money than I would.   [I would 뒤에 not marry for money가 생략]
     = He'd not marry for money any more than I would.
     (내가 돈 때문에 결혼하지 않을 것처럼 그 역시 그렇다.)

 

[Point] <A is no less B than C is.>(C가 B이듯, A도 B이다)
바로 앞 [Point 4]에서 다룬 <A is no more B than C is.>란 표현에서 more를 less로 바꾸면, ‘C가 B이듯, A도 B이다’라는 정반대 의미를 가진 표현이 됩니다. 
예) A whale is no less a mammal than a horse is.
     (말이 포유동물이듯 고래 역시 포유동물이다.)
  
[Point] <much more>(하물며) [긍정문 속에서]/ <much less>(하물며)  [부정문에서]
much more나 much less는 평소 ‘훨씬 더 많이’, ‘훨씬 더 적게’라는 뜻으로 쓰이는 말인데, much more는 긍정문 속에서 쉼표(,) 뒤에 쓰여 ‘하물며( ~는 훨씬 더 …이다)’라는 긍정의 뜻으로, much less는 부정문 속에서 쉼표 뒤에 쓰여 ‘하물며 (~는 훨씬 더 … 아니다)’라는 부정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much more나 much less는 much 대신 still을 써서 still more, still less라 하기도 합니다.
예) I would help an enemy in distress, much more a friend.
     (곤경에 처한 적도 도울텐데, 하물며 친구야. → 당연히 돕는다)
     There was not any creature, much less any animal.
     (생물이라곤 전혀 없었다. 하물며 동물이야. → 당연히 없다)
 
[Point] <no[little] better than ~>(~이나 다름없는)/ <little less than>

(거의= almost)
no better than 또는 little better than은 직역하자면 '~보다 나을 것이 없는'이란 뜻으로, 주로 부정적인 의미에서 ‘~나 다름없는’이란 말을 할 때 씁니다. 그리고 직역하자면 ‘~보다 덜할 게 없는’의 뜻을 가진 little less than은 상당하다는 뜻으로 ‘거의 ~나 되는’이란 말을 할 때 씁니다.
예) His father was no better than a beggar.
     (그의 아버지는 거지나 다름없었다.)
     He donated little less than three million dollars to his school. 
     (그는 모교에 거의 300만 달러나 기증했다.)
  
[Point] <know better than to ~> (~할만큼 어리석지 않다)
know better than to ~는 직역하면 ‘~하기보다는 더 잘 안다’의 뜻으로, ‘알만큼 알고 있어서 ~하지는 않는다’, ‘~할만큼 어리석진 않다’는 뉘앙스로 흔히 쓰는 말입니다. know better than to ~에서 than 이하를 생략한 채 간략히 know better라 하면 ‘더 잘 안다’ 즉, ‘철이 든다’는 뜻이 됩니다.   
예) My son knows better than to do such a thing.
     (내 아들은 그런 짓을 할만큼 어리석지 않다.)
     You ought to know better.
     (넌 좀 더 알아야겠다. → 철 좀 들어라.)


---------------------------------------------------------------------------------------
Q. 최상급 문장은 대개 어떤 형태를 띄나요?
---------------------------------------------------------------------------------------
A. 최상급은 형용사나 부사에 최상급 어미 -est를 붙이거나 앞에 most를 붙여 만드는 게 일반적이나, 다음과 같이 원급이나 비교급을 이용해 최상급 표현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Point] 최상급을 이용한 최상급 문장
가장 일반적인 최상급 형태로, 대개 형용사나 부사 어미에 최상급 어미 -est 등을 붙여 만들며, 3음절 이상의 긴 단어인 경우 뒤에 -est 등을 붙이지 않고 앞에 most를 붙여 만듭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드는 최상급은 앞에 정관사 the를 붙이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 She was the brightest girl in her hometown.[형용사 bright에 -est를 붙이고 앞에 정관사 the]
     (그녀는 자기 고향에서 가장 총명한 소녀였다.)
     Health is the most important thing of all.       [3음절 이상의 형용사 important 앞에 the most]
     (건강은 모든 것들 가운데 가장 소중한 것이다.)

 

[Point] 원급을 이용한 최상급 문장
<as 원급 as> 구문을 이용해 최상급을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대개 그 뒤에 any나 ever lived 등의 말을 쓰거나 앞에 No ~ 또는 Nothing 등의 부정 주어를 써, ‘다른 ~어느 누구만큼이나 …하다’, ‘그동안 살았던 그 어떤 ~만큼이나 …하다’, ‘어떤 ~도 ~만큼 …하지 않다’ 의 뜻을 부여해 최상급을 만듭니다.   
예) He is as logical as any student in his class.    [as 원급 as any ~(어느 ~만큼이나 …한)]
     (그는 자기 반의 그 어떤 학생만큼이나 논리적이다.)
     She is as great a poet as ever lived in England.   [as 원급 as ever 동사(…했던 ~만큼이나

     …한)]  (그녀는 영국에 살았던 그 어떤 시인만큼이나 위대한 시인이다.)
    No girl in the world is so[as] pretty as Jane.     [부정 주어 + so[as] 원급 as ~(~만큼 …한

    것은 없다)]  (세상에 제인만큼 예쁜 여자는 없다.)

 

[Point] 비교급을 이용한 최상급 문장
우리말에서도 “세상에 우리 손자보다 잘생긴 애는 없다.” 같은 비교급 표현은 “우리 손자는 세상에서 가장 잘생겼다.”는 최상급 의미가 되는데, 영어 경우에도 이처럼 비교급을 써서 최상급 표현을 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예) No girl in the world is prettier than my girl friend. [부정 주어 + 비교급 than ~(~보다 …한

     것은 없다)]  (세상 그 어떤 아가씨도 내 여자친구만큼 예쁘진 않다.)
     My girl friend is prettier than any other girl.      [비교급 than any other 단수 명사(다른 어떤

     ~보다 …]  (내 여자친구는 다른 어떤 아가씨보다 예쁘다.)
     My girl friend is prettier than all other girls. [비교급 than all (the) other 복수 명사(다른 모든

     ~보다 …)]  (내 여자친구는 다른 모든 아가씨들보다 예쁘다.)

 
추천 (1) 선물 (0명)
IP: ♡.4.♡.183
4ever (♡.35.♡.251) - 2008/03/24 09:23:59

좋은 자료를 올려줘서 감사합니다.

9,049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청개구리
2013-02-17
13178
청개구리
2011-08-09
22302
청개구리
2011-07-31
20239
청개구리
2011-07-14
19488
청개구리
2011-06-28
21151
청개구리
2011-06-13
21611
청개구리
2011-06-03
14912
공부하는쥐
2008-04-11
1409
행복하니
2008-04-09
1507
행복하니
2008-04-08
1577
공부하는쥐
2008-04-07
527
상큼여자
2008-04-06
530
행복하니
2008-04-05
2137
Acceptanc
2008-04-04
1811
Acceptanc
2008-04-04
1683
Acceptanc
2008-04-04
2523
Acceptanc
2008-04-04
2870
Acceptanc
2008-04-04
2265
Acceptanc
2008-04-04
1943
Acceptanc
2008-04-04
2665
Acceptanc
2008-04-04
3802
Acceptanc
2008-04-04
3136
lihl
2008-04-03
4630
행복하니
2008-03-29
4507
공부하는쥐
2008-03-28
1365
4ever
2008-03-25
424
신미리
2008-03-15
635
Aaron217
2008-03-08
709
모이자 모바일